제2장.영어의 핵심
1. 서양의 세계관과 영어의 특별한 관계
2014/06/11
제 1 장. 영어에 다가가기
1. 영어 원어민 관점에서 영어보기
2. 영어는 느낌이다.
3. 영어는 이미지로 이해해야 한다.
4. 영어는 먼저 입과 귀를 훈련해야 한다.
언어와 사고는 뗄 수 없는 관계이다.
언어의 소리와 이미지와 개념은 뗄 수 없는 관계임은 전장에서 알아보았다.
사고는 언어라는 틀을 통해 세상에 표현되고, 인식은 언어의 틀로 세상을 바라 본다.
깨달은 선각자들은 자신의 사고 과정를 통해 알게 된 것을 세상에 전하려 할 때 언어의 한계에 부딪치면 새로운 언어(낱말 또는 새로운 구조의 언어; 수학도 일종의 언어다)를 만들고자 애썼다.
언어와 사고는 인간의 지각(知覺)에 양 날개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외국어로써 영어를 습득하거나 학습해야 하는 우리는 영어 원어민의 사고 방식에 대한 이해를 근간으로 하지 않으면 제대로 된 영어 습득에 있어 어려움 뿐만 아니라 자의적이고 왜곡된 의미를 부여하게 된다.
영어 원어민의 사고와 영어의 구조 원리를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제대로 된 외국어 습득이고, 외국어를 효율적, 효과적으로 습득하는 방법이라 하겠다.
1. 서양의 개체 중심 세계관의 배경
(1) 목축과 수렵 중심의 생활의 생활 환경은 시간적, 공간적 대상을 분리하여 따로 따로 다른 것으로 바라 보게되는 배경이 되었을 것이다. 목축과 수렵에 따른 이동은 지난 장소와 지난 시간은 현재와 별개의 공간과 시간이 되고, 매번 만나는 사냥의 대상과 목초지는 각각 별개의 존재와 실존적인 존재로 인식되고 분석 되었을 것이다.
(2) 고대 그리스 도시 국가의 고립된 지리적 특성, 무역을 기반으로 한 자유로운 사회환경은 개별 주체의 존재를 중시하게 했을 것이고, 무역과 상업발달은 재산의 사유 재산을 일찌기 도입하게 됨에 따라 언어에서 수적인 구분을 중시하고, 개체의 실존적인 현실적인 존재감을 중시할 수 밖에 없었을 것이다.
(3) 이런 환경은 결국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서 자연을 정복해야할 대상(실존적인 존재)으로 보게(분석) 했을 것이다.
(4) 이런 경향은 세상을 구체적인, 존재감이 있는 대상으로 바라보고, 그 대상을 나누고 분석하여 파악한 고유한 속성과 상태를 중시하게 했을 것이다.
서양의 이러한 세계관이 언어로써 영어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 알아 봄으로써 우리말과 다르게 인식되는 영어의 여러 모습을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갖을 수 있을 것이다.
2. 개체 중심의 세계관과 영어
(1) 개체로서의 모든 존재(사람, 물질, 정신)를 독립적인 것으로 바라봄. (동일한 위상을 부여함)
--> 모든 존재가 주어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 모든 존재는 타 존재에 의해 피동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 시제에서 과거와 현재의 차별적 분리, 그리고 그 연결을 위한 완료시제의 사용.
(2) 물체로서의 존재 뿐만아니라 정신작용. 운동작용 및 상황과 상태 등 모든 것을 구체적인 존재로 바라본다.
--> 개념어인 단어에 존재감을 부여하는 관사 및 한정사의 사용
--> 동작 개념인 원형동사에 존재감을 부여하는 ~ing(현재분사), ~ed(과거분사)의 사용
(3) 개체중심의 사고와 영어의 어순
--> 모든 존재의 설명은 가장 중요시 여기는 그 존재 자체로 부터 가까운 사건을 먼저 기술하고 점차 주변부 세상을 표현해 나간다.
(4) 추가될 항목..
HYUDAY.tistory.com 2014'Papa's Life > Childrearing & Edu'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아빠의 홈스쿨 - 글쓰기 (0) | 2014.08.21 |
|---|---|
| 아빠의 홈스쿨 - 글쓰기(유시민) (0) | 2014.08.21 |
| [교육스크랩] 우리집 자녀 교육 (0) | 2014.04.22 |
| 교육 - 이상의 획득 (0) | 2014.04.22 |
| 교육-관점의 획득 (0) | 2014.04.22 |